기록
데모스X에서 일어나는 일을 기록하며 쌓아 나갑니다. 카테고리를 통해 의제, 유형, 지역별로 기록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들어가며 #워킹그룹 #툴킷 #프로젝트팀으로_커뮤니티만들기 #1번째
프로젝트 팀들의 커뮤니티 만들기"커뮤니티를 이루어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툴킷은 공통의 목표 아래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커뮤니티를 만들 때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
워킹그룹 툴킷 모아보기 #2023
다양한 목표에 따라 팀을 이루어 협업을 할 수 있는 여러 방안을 소개하는 툴킷을 모아놓은대문입니다. (빠띠 워킹그룹 팀이 궁금하다면?) 워킹그룹 툴킷(2023) 시민주도 워킹...

함께 만드는 작은 도서관 (채정숙 대조꿈나무어린이도서관 사서) #인터뷰
이 글은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5화. 우리가 발견한 보물섬 ① 모두를 위한 더 ‘건강’한 공론장에 첨부된 인터뷰입니다. 인터뷰를 보시기 전 5화를 미리 읽어보시길 권...

시민협력플랫폼, 더 많은 시민의 목소리 담을 수 있어야 (오관영 전 서울민주주의위원회 위원장) #인터뷰
이 글은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4화. 시민협력플랫폼을 향해 한 걸음 더 앞으로’에 첨부된 인터뷰입니다. 인터뷰를 보시기 전 4화를 미리 읽어보시길 권장합니다.빠띠가 ...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9화. 빠띠 크루가 말하는 시민협력플랫폼
지난 1화부터 8화까지, 민서의 경험에 이어 ‘협력과 신뢰로 지속가능한 사회’와 ‘시민협력플랫폼’을 실현하기 위한 빠띠의 다양한 시도를 전했습니다. 여전히 시민협력플랫폼이 어...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8화. 우리가 발견한 보물섬 ④ 더 민주적인 세상을 위한 공익데이터
빠띠는 민서의 경험에 이어 ‘협력과 신뢰로 지속가능한 사회’와 ‘시민협력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만난 보물과도 같았던 다양한 현장과 ...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7화. 우리가 발견한 보물섬 ③ 모두가 함께 만들어나가는 워킹그룹
7화. 우리가 발견한 보물섬 ③ 모두가 함께 만들어나가는 워킹그룹빠띠는 민서의 경험에 이어 ‘협력과 신뢰로 지속가능한 사회’와 ‘시민협력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6화. 누구에게나 열린 실시간 공론장
빠띠는 민서의 경험에 이어 ‘협력과 신뢰로 지속가능한 사회’와 ‘시민협력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만난 보물과도 같았던 다양한 현장과 ...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5화. 모두를 위한 더 ‘건강’한 공론장
빠띠의 민서(민주주의 서울)와 함께한 이야기, 어떠셨나요? 4화 말미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모든 시민이 참여하는 대규모 민주주의의 실현은 역사 이래로 인류가 늘 꿈꿔오던 ...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4화. 시민협력플랫폼을 향해 한 걸음 더 앞으로
지난 3화에서는 시범사업에서 1단계로 넘어간 민주주의 서울(이하 민서)의 경험을 나눴습니다. 4화에서는, 좀 더 나아가 민서의 5단계 모델을 구상하고 계획했던 이야기를 전합니...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3화. 이제 실전이다! 민서의 첫걸음 이야기
지난 2화에서는 민주주의 서울의 설계와 프로세스에 관해 고민했던 이야기와 시범사업의 경험을 나눴습니다. 3화에서는 시범사업에서 1단계로 넘어간 민주주의 서울 (이하 민서)의 ...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2화. 민주주의 플랫폼을 향한 고민과 실험
지난 1화에서는 ‘민주주의 서울’의 탄생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민주주의 서울이라는 플랫폼이 잘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와 프로세스에 관해 치열하게 고민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