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더 많은 사회적 대화와 협력을 꿈꾸며, 데모스X의 이야기를 담습니다.

[📗녹서] "디지털 노동, 우리에게 ‘대화’가 필요했던 이유" #프롤로그
이 녹서는 '들썩들썩떠들썩 : 세상을 바꾸는 아이디어 축제' 의 다섯번 째 공론장 <함께 만드는 노동의 미래, 10일의 대화> 에 참가한 시민들의 목소리를 담은 '...
2023.08.31.

세상을 바꾸는 공론장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 소개"세상을 바꾸는 공론장은 어떻게 만들수 있을까? 진단과 대안"은 공공상생연대기금과 사회적협동조합빠띠 / 소셜 코리아, 랩2050 그리고 솔라시가 함께 한 공론의 장입니...
2023.06.22.

함께 만드는 작은 도서관 (채정숙 대조꿈나무어린이도서관 사서) #인터뷰
이 글은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5화. 우리가 발견한 보물섬 ① 모두를 위한 더 ‘건강’한 공론장에 첨부된 인터뷰입니다. 인터뷰를 보시기 전 5화를 미리 읽어보시길 권...
2023.04.18.

시민협력플랫폼, 더 많은 시민의 목소리 담을 수 있어야 (오관영 전 서울민주주의위원회 위원장) #인터뷰
이 글은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4화. 시민협력플랫폼을 향해 한 걸음 더 앞으로’에 첨부된 인터뷰입니다. 인터뷰를 보시기 전 4화를 미리 읽어보시길 권장합니다. 빠...
2023.04.18.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9화. 빠띠 크루가 말하는 시민협력플랫폼
지난 1화부터 8화까지, 민서의 경험에 이어 ‘협력과 신뢰로 지속가능한 사회’와 ‘시민협력플랫폼’을 실현하기 위한 빠띠의 다양한 시도를 전했습니다. 여전히 시민협력플랫폼이 어...
2023.04.18.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8화. 우리가 발견한 보물섬 ④ 더 민주적인 세상을 위한 공익데이터
빠띠는 민서의 경험에 이어 ‘협력과 신뢰로 지속가능한 사회’와 ‘시민협력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만난 보물과도 같았던 다양한 현장과 ...
2023.04.18.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7화. 우리가 발견한 보물섬 ③ 모두가 함께 만들어나가는 워킹그룹
7화. 우리가 발견한 보물섬 ③ 모두가 함께 만들어나가는 워킹그룹 빠띠는 민서의 경험에 이어 ‘협력과 신뢰로 지속가능한 사회’와 ‘시민협력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
2023.04.18.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6화. 누구에게나 열린 실시간 공론장
빠띠는 민서의 경험에 이어 ‘협력과 신뢰로 지속가능한 사회’와 ‘시민협력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만난 보물과도 같았던 다양한 현장과 ...
2023.04.18.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5화. 모두를 위한 더 ‘건강’한 공론장
빠띠의 민서(민주주의 서울)와 함께한 이야기, 어떠셨나요? 4화 말미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모든 시민이 참여하는 대규모 민주주의의 실현은 역사 이래로 인류가 늘 꿈꿔오던 ...
2023.04.18.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4화. 시민협력플랫폼을 향해 한 걸음 더 앞으로
지난 3화에서는 시범사업에서 1단계로 넘어간 민주주의 서울(이하 민서)의 경험을 나눴습니다. 4화에서는, 좀 더 나아가 민서의 5단계 모델을 구상하고 계획했던 이야기를 전합니...
2023.04.18.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3화. 이제 실전이다! 민서의 첫걸음 이야기
지난 2화에서는 민주주의 서울의 설계와 프로세스에 관해 고민했던 이야기와 시범사업의 경험을 나눴습니다. 3화에서는 시범사업에서 1단계로 넘어간 민주주의 서울 (이하 민서)의 ...
2023.04.18.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2화. 민주주의 플랫폼을 향한 고민과 실험
지난 1화에서는 ‘민주주의 서울’의 탄생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민주주의 서울이라는 플랫폼이 잘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와 프로세스에 관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2023.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