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더 많은 사회적 대화와 협력을 꿈꾸며, 데모스X의 이야기를 담습니다.
[민주주의 항해일지 1.0] 1화. ‘민주주의 서울'에서 싹틔운 시민협력플랫폼의 꿈
2021년은 빠띠가 항해를 시작한 지 5년이 되는 해입니다. ‘어떻게 하면 더 많은, 더 나은 민주주의를 만들 수 있을까?’라는 질문으로 방향키를 잡았던 2016년의 첫 마음...
2023.04.18.

변화하는 시민과 디지털 거버넌스 혁신
시민의 변화와 거버넌스 체계 혁신빠띠 설립자인 권오현님이 2019년 5월 열린 <시민사회 발전을 위한 대토론회>에서 발표한 발제문을 재구성했습니다.촛불시위에서 촛불...
2023.04.15.

[작은도서관 거버넌스 운영 가이드] 부록-2. 보이는 작은도서관 : 은평 대조 꿈나무어린이
2. 보이는 작은도서관 - 은평 대조 꿈나무어린이 도서관- 거버넌스 만들기 - 이름 : 은평 작은도서관 시민협력가 - 투표와 논의를 통해 결정했습니다. ...
2023.04.14.

[작은도서관 거버넌스 운영 가이드] 부록-1. 작은도서관 미디어 스튜디오 구축 : 동대문
1. 작은도서관 미디어 스튜디오 구축 - 동대문 슈필라움 작은도서관- 거버넌스 만들기- 이름 : 작은도서관 워킹그룹- 논의와 투표를 통해 결정- 구성원- 장쌤(나들목 가족도서...
2023.04.14.

[작은도서관 거버넌스 운영 가이드] 6.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문제해결 실험장
Ⅵ.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문제해결 실험장‘실험장’은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가 정해진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직접 문제해결을 해보는 활동입니다. 앞서 진행 된 제안 발굴, 의제 ...
2023.04.14.

[작은도서관 거버넌스 운영 가이드] 5. 모두 함께 토론하고 결정하는 '열린토론회'
Ⅴ. 모두 함께 토론하고 결정하는 ‘열린토론회’- 열린토론회란? - 열린토론회(공론장)는 의제 관련 이해관계자와 이에 관심있는 시민들에게 보다 직접적인 참여의 경험을 ...
2023.04.14.
[작은도서관 거버넌스 운영 가이드] 4.실험장 의제 선정과 기획을 위한 ‘의제선정단’ 운영
Ⅳ. 실험장 의제 선정과 기획을 위한 ‘의제선정단’ 운영의제선정단은 발굴된 제안과 문제 중에서, 작은도서관 거버넌스가 함께 실험할 제안을 선정하는 역할을 하는 시민, 이해관계...
2023.04.14.

[작은도서관 거버넌스 운영 가이드] 3.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제안 발굴
Ⅲ.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제안 발굴- 제안 발굴 및 문제발견이란? - 시민의 관점에서 작은도서관 이용 및 운영에 대한 다양한 제안을 발굴합니다. - 작은도...
2023.04.14.

[작은도서관 거버넌스 운영 가이드] 2.거버넌스 운영하기
Ⅱ. 거버넌스 운영하기작은도서관 거버넌스 운영이란 작은도서관과 관련된 문제 해결, 정책 이슈의 논의 등을 위해 작은 도서관 운영자, 지역 주민, 관련 공무원 등 다양한 주체가...
2023.04.14.

[작은도서관 거버넌스 운영 가이드] 1. 작은도서관 거버넌스 만들기
들어가며 - 작은도서관 거버넌스를 소개합니다. - 작은도서관은 “동네 곳곳 가까운 곳에 시민들이 일상적으로 갈 수 있는 독서 및 문화 프로그램을 누릴 수 있는 지역공동...
2023.04.14.

[시민협력플랫폼 데모스X] 8. 데모스X 의 로드맵
현재부터 미래까지 각 단계의 목표를 세워놓고, 시민협력플랫폼의 운영 체계를 단계적으로 고도화해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더 나은 민주주의를 위한 시민협력플랫폼은 시민과 기...
2023.04.14.

[시민협력플랫폼 데모스X] 7. 홍보 운영
1) 홍보 운영이란?홍보 운영은 기관의 시민협력플랫폼에 시민들의 참여를 극대화하고, 타 플랫폼과 차별화된 가치를 드러냄으로써 플랫폼을 브랜딩하는 과정을 모두 포함합니다. ...
2023.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