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데모스X에서 일어나는 일을 기록하며 쌓아 나갑니다. 카테고리를 통해 의제, 유형, 지역별로 기록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필터
공론장 서울특별시 교육 제주도
[결과보고] 곧 리더, 우리가 제안하는 지역복지사업 300인 원탁 토의

 사업 개요 [사업명] 2024년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역량오름과정 300인 토의 [유형] 공론장 [기간] 2024년 5월 22일 [주제] 곧 리더, 우리가 제안하는 지역복지사업 [대상] 사회복지직 공무원 300 [주최·주관]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주최,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주관 300인의 대화, 어떻게 진행했나요?  <2024년 사회복지전담 공무원 역량오름과정> 이 5월 22일부터 24일 진행됐습니다.  데모스X 팀은 한국보건복지인재원과 “곧 리더, 우리가 제안하는 지역복지사업”이라는 주제로 300인 원탁 토의를 5월 22일 진행했습니다.   300인 토의 행사가 진행된 제주부영호텔 @빠띠 실시간 의사결정 솔루션 타운홀을 활용해, 2시간 동안 300인이 함께 대화를 나누고 의견을 모았습니다.  토의 주제는 크게 두가지 였습니다.  현재 지자체 지역복지사업에서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대상자는 누구인지, 앞으로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우선 대응할 필요가 있는 사회문제는 무엇인지 300인의 의견을 묻고 테이블 토론을 진행했습니다.  두 번째로 리더가 될 사회복지직 공무원에게 필요한 역량을 묻고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테이블 토론을 마치고, 각 테이블에서 진행된 논의를 타운홀에 기록하고 공유하며 행사를 마쳤습니다.  빠띠 타운홀 네트워크(키워드) 토론 진행 모습 @빠띠 빠띠 타운홀 네트워크(키워드) 토론 결과 화면 @빠띠 타운홀을 활용해 2시간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300인의 다양한 의견을 모으고, 공통의 지향점을 발견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2024-06-04

교육
[후기] 디지털 공론장 활동가 양성 과정 참가 스케치 #2021

'디지털 공론장 활동가 양성 과정'은 이론과 실습, 총 2회로 진행되는 온라인 프로그램입니다. 1회차에서는 시민들이 주도하는 공론장은 어떤 모습일지, 온-오프라인이 연결된 공론장은 무엇일지 알아봅니다. 2회차에서는 공론장에서의 민주적 소통을 위해 퍼실리테이터와 아키비스트는 어떤 관점을 가지고 어떤 역할을 해야 할지 살펴봅니다. 사업 개요 [사업명] 디지털 공론장 활동가 양성 과정 [유형] 공론장 [기간] 2021.05 [주제] 디지털 공론장 활동가 양성 [대상] 공론장을 기획·운영 하고싶은 시민 모두 [주최·주관]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공론장이 뭐지? 공론장에 활동가가 필요할까?” (참여하기 전)     처음에 빠띠에서 진행하는 ‘디지털 공론장 활동가 양성 과정’ 포스터를 보았을 때 생소한 느낌을 받았다. 공론장 행사에 참여해 본 적은 있었지만 활동가를 따로 양성하는 과정은 처음 접했기 때문이다. 공론장이라는 단어 자체가 생소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나도 사회와 경제에 관심을 가진 후에야 공론장의 의미를 알게 되었다. 공론장은 여러 사람이 함께 토의 할 수 있는 장소나 환경을 말하며, 더 나아가 어떤 문제를 이슈화 하고 공론화 하는 의미를 포함하기도 한다. 포스터를 보고 '공론장에서도 활동가가 필요하다고?' , '진행자가 진행하고 모여서 이야기하면 되지 않을까?','과연 잘 활용할 수 있을까?' 등, 여러 생각이 들었다.   '음.. 공론장 활동가 필요한 것 같기도!' (이론을 들으며)     공론장 활동가 양성과정은 이론과 실습 2단계로 진행되었다. 활동에서는 이름이 아닌 본인이 불리고 싶은 별칭으로 활동할 수 있었다. 단순히 별명을 부르나? 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는 나의 잡생각을 뒤로하고 온전히 대화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었다. 교육의 주체 빠띠 믹스팀은 활동가 양성과정 외에도 여러 공론장을 여는데, 사회가 디지털 전환의 변화 속에 있고, 시민...

2023-03-17

서울특별시 교육
[후기] 빠띠와 함께 만드는 일상의 공론장

더 민주적인 사회를 만들기 위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시민의 뜻을 제대로 대변하는 정당이나 의회, 경제적 불평등을 완화하는 정책 등 여러 답이 있을텐데요. 빠띠는 특정한 제도나 정책보다는, 어떤 제도나 정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새롭게 만드는 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의 문제나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말하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소통하는 ‘공론장’이 바로 그것입니다. 빠띠는 그동안 크고 작은 공론장을 열고 운영하면서 기획과 운영 과정을 꼼꼼히 기록해서 툴킷으로 만들어 공개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민주주의 서울' 기획 운영 경험을 담아 ‘시민참여플랫폼 데모스X 운영가이드’를 제작했고, 온오프라인에서 연 다양한 형태의 공론장 활동을 하나씩 담아 ‘공론장 가이드’를 만들었지요. 더 다양한 조직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빠띠가 겪은 시행착오를 겪지 않고 더 민주적인 소통의 장을 열 수 있기를 바라면서 말이죠. 지난 5월 22일에는 “빠띠와 함께 만드는 일상의 공론장”이라는 주제로 교육을 열었습니다. 저녁 7시 ZOOM을 활용하여 온라인에서 열린 교육에는 일상으로부터의 변화와 참여를 고민하는 교육 기획자, 디지털 기술이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온라인과 오프라인 활동을 어떻게 연결할 수 있을지 궁금한 활동가, 시민들이 지역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방법을 알고 싶은 플랫폼 운영자 등이 모였습니다. 2시간의 교육은 빠띠가 어떤 고민을 갖고 공론장을 만들고 운영해왔는지를 ‘민주주의 서울’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였습니다. 그리고 질의응답을 통해 평소 빠띠 활동에 대해 갖고 있던 궁금증, 기관의 공론장 운영에서 어려운 점들을 해결하는 방법, 시민들이 참여를 독려하고 의견을 모으는 방법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소통과 협업의 방식이 비영리조직, 시민사회 활동에도 많이 확산되면 좋겠다.” “시민이 문제의 당사자로서 자기 이야기를 꺼내놓고 그것을 함께 발전시켜 정책으로 만들어간 과...

2023-03-17

공익데이터실험실
[결과보고] DSI 프로젝트 실험실(2021년 서울 디지털 사회혁신센터)

5개 사회문제 분야(교육/디지털성범죄/자원순환/장애/디지털 격차)를 주제로 한 디지털 사회혁신(Digital Social Innovation: DSI)에 관해  다양한 시민들이 함께 모여 DSI 이야기를 나누고 협업했습니다. 실험실로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일상 속에서 사회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해보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 실험을 진행했니다.   사업 개요 [사업명] DSI 프로젝트 실험실 (2021년 서울 디지털 사회혁신센터) [유형] 리빙랩 [기간] 2021.05 ~ 2021.12 [주제] 디지털 사회혁신, 교육, 디지털 성범죄, 자원순환, 장애, 디지털 격차 [대상] 사회문제에 관심있는 시민들 [주최·주관] 서울 디지털사회혁신센터 컨소시엄 PLAY,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DSI 프로젝트 실험실 🗺️ 어떻게 진행하나요? DSI JAM 2021 9월 오프닝 세션에서 관심있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고, 3개월 동안 DSI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진행해 12월 클로징 세션에서 미니 데모를 하고 마무리합니다. 실험실 여정에서 DSI 도메인 전문가, 시빅해커의 맞춤형 자문을 연결해 사회문제를 재정의하고, 손에 잡히는 DSI 프로젝트 프로토타입을 작업합니다. 시민들의 경험과 기여가 쌓이고 모여 연결되는 걸 볼 수 있도록 오픈소스 라이선스로 모든 과정을 공개합니다.  🌈 기대효과 5개 사회문제 분야(교육/디지털성범죄/자원순환/장애/디지털 격차)의 시민주도 오픈소스 프로젝트 프로토타입 작업물   💬 함께 한 시민들의 이야기 [DSI JAM 2021] 프로젝트 소개 & 인터뷰 - 디세나보 [DSI JAM 2021] 프로젝트 소개 & 인터뷰 - 리퍼 [DSI JAM 2021] 프로젝트 소개 & 인터뷰 - 함께하는 일상 [DSI JAM 2021] 프로젝트 소개 & 인터뷰 - 새빔 [DSI JAM 2021] 프로젝트 소개 & 인터뷰 - 문제적 문해력...

2023-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