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워크숍 모아보기 #1 #소개 #공론장 #툴킷

데모스X
2023.06.29.
110
언제 사용할 수 있는 툴킷인가요?
-
시민들이 어떤 의제에 대해 관심이 있는지 알고 싶을 때
-
특정 의제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제안을 듣고 싶을 때
-
특정 의제를 가진 시민들의 의견을 플랫폼에 담고 싶을 때 (예, 1인가구, 장애인, 독박육아)
-
시민들에게 시민협력플랫폼을 이해시키고 경험시키고 싶을 때
누구를 위한 툴킷인가요?
-
참여자 중심의 워크숍을 기획, 운영하고 싶은 활동가
-
일상의 문제를 시민의 관점에서 이야기하고 해결 방법을 찾아보고 싶은 사람
-
정책 또는 특정 주제의 이해관계자 그룹과 직접 소통하고, 새로운 제안을 얻고 싶은 기관이나 단체의 운영자
워크숍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
해당 주제나 문제에 대해 고민하거나 겪고있는 당사자(혹은 관심자)들이 직접 논의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듭니다.
-
참여자가 문제 발견과 제안의 주체가 되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
해당 주제에 대한 시민의 생각과 배경, 시민이 생각하는 해결방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플랫폼에 접근성이 낮은 시민들이 플랫폼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듭니다.
-
자신의 제안이 관련 정보 또는 부서 답변을 받는 단계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참여한 시민들이 시민협력플랫폼의 효능감을 느끼도록 합니다
워크숍을 기획, 운영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이 있나요?
-
기관이 듣고 싶은 이야기 보다는, 참여한 시민들이 이야기 하고 싶은 주제를 담아주세요.-
기획단계에서부터 주제 관련 커뮤니티/기관과 협의하여, 시민협력가와 당사자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할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
-
Tip. 시민들이 워크숍의 참가자이자, 주인공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초대합니다. 일반 참가 시민은 '제안가'로, 워크숍을 함께 기획하고 진행하는 시민들은 '협력가'의 역할을 맡습니다.
-
-
참여한 시민이 워크숍에 대한 효능감을 느낄 수 있도록 섬세히 기획해주세요.-
플랫폼 혹은 기관에 어떻게 의견이 수렴되는지 프로세스를 충분히 설명하고 이해하는 시간이 될 수 있도록 만들어주세요. 시민협력가가 먼저 이해하는 것도 좋습니다. 원활한 후속 작업을 위해 관련 기관(주관부처)과 협의를 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
-
시민이 좋은 제안을 만들 수 있는 정보와 환경을 제공합니다.-
시민협력가와 함께 정책조사를 하며 주제테이블을 꾸리거나, 행사에 관련 기관(주관부처)을 초대하여 정책 정보를 제공하는 등 시민이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제안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
참여한 시민과 이해관계자들에게 워크숍 이후 제안 또는 논의 결과의 실행 여부, 관련 정책의 개선 사항 등 정보를 공유합니다.-
지속적인 시민제안 모니터링 등을 통해 변동사항을 확인하고 의미있는 결과들은 함께 공유합니다. 또한 관련부서의 응답 등을 촉구하거나 수렴 기회를 만들어 참여 시민들에게 알리는 것도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