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건이 검색 되었습니다.
소개대규모 시민들이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숙의·공론장 만들기 타운홀 미팅이란?타운홀 미팅은 공청회, 대표연설, 설명회, 패널회의와 같은 전통적 시민참여 방식을 지양하고 토론과 담론에 초점을 둔 숙의모델입니다. 대규모(500∼5,000인)의 시민들이 참여하여,...
소개다양한 계층의 시민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사회적 현안에 대해 숙의·공론하고 제안하기 시민회의(의회)이란?시민회의(의회)는 시민들을 위한 정책을 시민들이 제안하고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자리입니다. 시민회의(의회)를 통해 더 많은 시민이 함께 숙의하고 의사...
소개다양한 아이디어의 우선순위 결정하기 정책박람회(정책마켓)이란?회사, 모임, 지역 공동체를 위한 수많은 아이디어 중에서 우선순위를 정하는 일에 구성원 모두가 참여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해드립니다.정책마켓에서는, 참가자가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사례와 아이디어를 들...
소개서로 다른 의견 중 지지하는 쪽 선택하기 정책배틀이란?첨예하게 대립하는 사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신가요? 숙의를 거쳐 의미 있는 의사결정이 도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해드립니다. 정책배틀은 한 가지 주제(이슈)에 대한 서로 다른 의견을 듣고 어떤 것이 나은지 참가...
🌲 소개정책소통포럼은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국민을 위한 대표 ‘정책 공론장'입니다. 한달에 한번 국민이 생활 속에서 발견한 문제를 중심으로 포럼 의제를 선정하여, 해당 의제에 관심 있는 국민, 정부, 전문가가 한 자리에 모여 토론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 ...
🌱 소개은평구 자원봉사센터와 함께 ‘기후위기 대응 시민공론장’을 운영했습니다. 기후위기에 관심있는 은평구민과 함께 대응을 위한 개인/시민공동의 실천 방안을 찾고, 지역 사회의 자원을 탐색해보고자 했습니다. 🖇️ 개요함께한 현장 : 은평구 자원봉사센터함께한 시민...
🌱 소개플랫폼 노동자의 건강권을 위한 현장 지향형 보건(건강) 사업을 개발하는 긱업스(GigUpHs: Gig economy workers’ Universal Protection for Health and Safety) 연구진과 협업하여 ‘플랫폼 노동건강 아이디어...
🌱 소개제19회 전국주민자치박람회는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100% 온라인으로 전환하여 진행하였습니다. 2001년부터 2019년까지 오프라인에서 진행했던 박람회의 가치와 의미를 온라인에서도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힘썼습니다. 🖇️ 개요함께한 현장 : 행정...
국민을 위한 대표 정책 공론장 열린소통포럼이 올해도 어김없이 대화의 장을 열었습니다. 지난 일 년간 코로나 19로 인해 대면 만남의 기회는 줄었지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소통과 연결의 기회는 더 많고 다양해졌지요. 2021년 열린소통포럼도 이런 변화에 맞춰 참여...
빠띠는 민서의 경험에 이어 ‘협력과 신뢰로 지속가능한 사회’와 ‘시민협력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만난 보물과도 같았던 다양한 현장과 사람, 경험을 전하려 합니다. 지난 5화에서는 빠띠가 추구하는 공론장의 모습과 이 공론장이...
2. 보이는 작은도서관 - 은평 대조 꿈나무어린이 도서관- 거버넌스 만들기- 이름 : 은평 작은도서관 시민협력가- 투표와 논의를 통해 결정했습니다.- 구성원: 도서관 운영자 5인, 도서연구회 관계자 1명, 지역 주민 1명, 은평구청 공무원 1명- 주 소통 채널: ...
1. 작은도서관 미디어 스튜디오 구축 - 동대문 슈필라움 작은도서관- 거버넌스 만들기- 이름 : 작은도서관 워킹그룹- 논의와 투표를 통해 결정- 구성원- 장쌤(나들목 가족도서관 사서), 정관장(슈필라움 작은도서관 관장), 옥돌캐기(슈필라움 작은도서관 사서), 성장...
Ⅴ. 모두 함께 토론하고 결정하는 ‘열린토론회’- 열린토론회란?- 열린토론회(공론장)는 의제 관련 이해관계자와 이에 관심있는 시민들에게 보다 직접적인 참여의 경험을 제공하고, 깊이있는 상호 토론을 통해 해당 의제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 정책 방안을 모색하는 장이 ...